본문 바로가기

통신 케이블 공사 정보통신 표준 품셈

728x90

고품질 정보통신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한 필수 요건은 정보통신 공사의 적정 가격을 결정하고 이를 토대로 합리적인 계약을 체결하는 일이다. 또한 공사비 산정은 기초 자료로 활용되는 정보통신 표준 품셈에 대해 명확히 이해하는 것은 적정한 공사비 확보와 시공 품질 향상을 위해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그렇기 때문에 정보통신 표준 품셈의 주요 내용에 대해 면밀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광섬유 케이블 접속 및 시험과 광분배함 및 성단, 구내 광섬유 케이블의 개요, 용어의 정의, 해설 등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광섬유 케이블 접속 및 시험의 개요는 전화국사에서 건축물 내 국선 접속 설비까지 사업자 구간에서의 설치 환경에 따른 광섬유 케이블 접속, 성단, 시험 등에 대한 품셈을 규정하고 있다. 융착접속이라는 용어의 정의는 두 광섬유의 축을 맞춘 후 단면을 열로 정형하여 가열융착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외피접속이라는 용어의 의미는 광섬유심선 접속부를 충격이나 습기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절단된 양측의 케이블 외피를 접속 자재를 사용하여 접속하는 것을 의미한다. 광섬유 케이블 일반 접속의 경우 설치 공정은 작업 준비, 광섬유심선 코팅 제거, 이물질 제거, 광섬유 절단, 광섬유 접속, 광섬유 접속부 보강, 접속 여장 정리, 작업 정리의 순서로 진행된다. 광섬유 케이블 절체 접속의 설치 공정은 작업 준비, 신구광섬유 심선 코어 대조, 기존 접속부 제거, 이물질 제거, 광섬유 절단, 광섬유 접속, 광섬유 접속부 보강, 접속 여장 정리, 작업 정리의 순서로 진행된다. 외피 접속의 설치 공정은 작업 준비, 케이블 단말 처리, 외피 탈피, 보호 튜브 삽입, 본드선 취부, 접속함체 조립 및 연결, 보호 지지판 설치, 접속함 결합, 접속함체 고정, 작업 정리의 순서로 진행된다. 적용 방법의 경우 외피 접속은 접속함체 1개 설치를 포함하고 있으며, 동일 개소상 접속함체 2개를 설치하게 될 경우에는 본 품셈의 200퍼센트를 적용한다. 광섬유 케이블 접속은 융착 접속 방법으로서 작업개소 당 코어 접속 수량에 맞는 규격의 품셈을 적용한다.

광분배함 또는 광분배반 및 성단의 개요와 용어 정리, 해설을 알아보겠다. 광분배함이란 전화국사에서 건축물 내 국선 접속 설비까지 사업자 구간에서의 설치 환경에 따른 광분배함 및 성단 품셈을 규정하고 있다. 분배함이란 Optical Fiber Distribution으로서 광섬유 케이블과 광 전송 장치 및 광 중계 장치들의 상호 연결 및 광섬유 케이블의 광섬유 심선을 분배하기 위해 동별 통신실에 설치하여 운용하는 장치를 말한다. 분배반이란 Fiber Distribution Frame으로서 광 가입자의 변경과 등록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광가입자 전송 장치 또는 인입된 광섬유 케이블 연결, 분배 및 절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집중 구내 통신실에 설치하여 운용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광단자함은 Optical Termination Pannel로서 가입자 빌딩이나 전주 등에 설치되어 가입자 광전송 장치 등에 인입되는 케이블을 수용하여 광전송 장치 등에 분해해주는 장치를 뜻한다. 국내 성단의 설치 공정은 작업 준비, 케이블 종단 제거 및 외피 탈피, 케이블 고정 및 선번 표시, 광 어댑터 취부 및 접속판 내 광섬유 심선 정리, 이물질 제거 및 코어 절단, 접속 및 광섬유 접속부 보강, 여장 정리 및 고정과 선번 표시, 작업 정리의 순서로 진행된다.

구내 광섬유 케이블의 개요를 살펴보겠다. 구내 광섬유 케이블이란 건축물 내 국선 접속 설비부터 인출구까지 이용자 구간에서의 광섬유 케이블 포설, 성단, 시험 등에 품셈을 규정하고 있으며 각종 단자함 및 접속은 광섬유 케이블 접속 및 시험 품셈을 준용한다. 집합 광섬유의 광 코어 공압 포설이란 집합 유닛을 수용하기 위한 수십개의 광 튜브들을 연합하여 케이블화한 광 튜브 케이블과 수 개의 광섬유 심선을 코팅한 집합 심선으로 구성된다. 플라스틱 광케이블이란 광섬유의 코어 재료로 유리 대신 플라스틱을 사용한 광케이블로 기존의 유리 섬유 광케이블에 비하여 유연성이 뛰어나고 코어 직경이 굵어 시공이 용이하다. 표준품셈 제정 및 개정 연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2004년 개정 내용은 구내 광케이블 관련 항목을 이동하였고 POF 설치 품셈 해설항목을 추가하였다. 2005년 개정 내용은 구내 광케이블 포설, 성단, 시험 품셈 신설 및 광 튜브 규격을 세분화하였다. 2006년에는 POF 설치 품셈을 신설하고 기축 건축물에 설치 품셈 해설항목을 신설하였으며 멀티 모드와 싱글 모드를 통합하였다. 2008년에는 기축 건축물 및 리모델링 건축물의 품셈을 현실화하여 개정하였다. 2009년에는 기계 경비 품셈 해설 항목을 명시하였고 접속 품셈 해설 항목 또한 명시하여 개정하였다. 2010년의 개정 내용을 살펴보면 구내 광케이블 포설 품셈을 현실화하였으며 슬림형 내관 구내 설치 품셈 신설과 관로 내 광케이블 추가 포설 품셈 해설 항목을 신설하였다. 2011년에는 광 코어 공압 포설, 광 튜브 포설, 광 튜브 내관 이음 품셈 신설, 반사 손실 측정 품셈을 신설하였다. 2012년에는 시험 품셈을 현실화하였다. 2013년 개정 내용에서는 광 코어 공압 포설 품격의 규격을 세분화하였다. 광섬유 케이블 포설의 설치 공정은 작업 준비, 포설 경로 확인 및 측정, 시점 및 종단점 선정, 시단부 식별 표시, 광케이블 포설, 광케이블 고정, 시단 및 종단점 여장 정리, 작업 정리의 순서로 진행된다. 집합 광섬유의 광 코어 공압 포설 설치 공정은 작업 준비, 공압 포설기 및 공기 압축기 설치, 공압 포설기 조정, 무전 상태 확인, 심선 종단 비드 취부, 공압 포설기 속도 및 공기압 조정, 여장 정리 및 고정, 작업 정리의 순서로 진행된다.

지금까지 통신 케이블 작업 및 공사를 진행하기 위한 정보통신 관련 표준 품셈에 대해 살펴보았다. 앞에서도 언급하였지만 정보통신 표준 품셈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통해 적정한 공사비용 산출 및 시공의 품질 향상을 위해 반드시 검토해보아야 할 사항들이다.